본문 바로가기
3D스캐너/3D스캐너 쉽게 알기

[3D스캐너] 나에게 맞는 3D 스캐너를 고르는 방법

by J3D 2025. 4. 15.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제이쓰리디 주실장입니다.

 

세상에는 3D 스캐너 제품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저희 제이쓰리디에서 갖고 있는 시연기만 해도 20종이나 됩니다.

3D스캐너를 검색하면 우후죽순 쏟아지는 제품들..

 

싼 가격의 3D스캐너여도 1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이니 테스트 삼아 사보기도 애매하고

비싼걸 사자니 어떤 제품을 시연 받아봐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주실장이 한 방에 정리 해드리겠습니다.


 

영상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광원은 3가지로 나뉘고!
방식은 2가지로 나뉘고!
대상 물체의 재질과 크기를 보고 선택한다!

 

자세히 한번 볼까요?

 

특수한 3D 스캐너를 제외하고

모든 3D 스캐너는 2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광원의 차이 vs 방식의 차이"

 

광원은 적외선, LED, 레이저

방식은 핸드헬드 (이동형), 고정식(데스크탑형)

 

광원과 방식이 여러가지로 조합되어 수많은 제품들이 탄생합니다.

 


 

 

1. 광원별 특징

 

광원은 대상 물체의 재질과 해상도/정밀도에 따라

"적외선 vs LED vs 레이저"로 나뉘어집니다.

 

3d스캐너 광원별 분류

 

1-1. 적외선

 

첫번째 광원은 적외선(Infrared)입니다.

적외선은 가성비가 좋은 광원입니다.

저가형 제품에 많이 사용되는 광원이고

고가 제품의 사이드 광원으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3d스캐너 적외선

 

 

특징으로는 해상도가 낮고 정확도가 낮습니다.

다만 컬러가 지원되고 최근에는 무선 제품들까지 등장했습니다.

 

3d스캐너 적외선 무선

 

정확도가 중요하지 않고 바로 3D프린터로 출력하기만 원한다면

저렴한 가격으로 선택할 수 있는 광원입니다.

[사용장비 : Einstar]

 

따라서 DIY, 피규어, 초등학교 교육

혹은 3D CG작업을 위한 데이터가 필요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1-2. LED

두번째 광원은 LED입니다.

세부적으로 White LED와 Blue LED로도 나뉘지만 넘어가겠습니다.

LED는 제일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광원입니다.

 

3d스캐너 LED


컬러 스캔도 가능하고

 

디테일한 해상도도 챙길 수 있고

정확도도 준수한 수준으로

많은 3D 스캐너가 선택하는 광원입니다.

적외선의 단점이었던 해상도와 정밀도를 잡은 광원입니다.

 

3D스캐너 LED 단점

 

단점은 LED 빛을 반사 시켜 카메라로 읽어들이는 방식이라

 

반짝임이 심하거나 투명한 재질은 스캔이 안 되고

검은색은 노이즈가 많이 발생합니다.

 

3d스캐너 스캔용 스프레이

 

따라서 이런 제품들을 스캔할 때는

 

스캔용 스프레이를 꼭 사용해야하는 단점이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컬러도 포기하게 되니 아쉬운 점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또 하나 단점은 야외 스캔이 불가능합니다.

가시광선의 파장이 LED 빛에 간섭을 일으켜 스캔이 불가능합니다.

 

[사용장비 : Einscan H2]

 

따라서 LED 3D스캐너는 이런 분들이 사용합니다.

고해상도, 고정밀도의 인체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의수 제작, 맞춤 의류)

시제품 샘플 테스트 (스프레이 도포가 가능한 가공품)

학교 교육용 (공업고등학교, 국제기능올림픽 등)

적외선 보다 높은 해상도의 컬러 스캔이 필요할 때 (CG작업, 문화재 등)

그 외에도 수많은 분야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1-3. 레이저

레이저 광원은 산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3d스캐너 레이저 장점
[재질의 영향을 받지 않음]

 

우선 LED의 단점이었던 재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치수 정밀도도 LED광원보다 월등히 좋습니다.

따라서 NC 가공품, 자동차 등

정밀 측정이 필요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선택합니다.

 

3d스캐너 레이저 디테일
[레이저 3D 스캐너 샘플]

 

 

혹은 3D 데이터의 품질자체가 중요한 경우 선택합니다.

LED 광원의 컬러 3D 스캔을 선택하더라도

컬러 데이터가 DSLR 카메라의 해상도를 따라가긴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3D 데이터의 메시 품질을 선택하고

컬러는 blender나 maya 등의 소프트웨어에서

텍스쳐 매핑을 따로 하기도 합니다.

 

3d스캐너 레이저 마커
[마커를 붙인 스캔 대상]

 

레이저 광원의 단점은 마커가 꼭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LED는 물체의 형상 정보로 상하좌우를 구별하지만

레이저는 무작위로 부착된 마커로 상하좌우를 구별합니다.

 

3d스캐너 레이저 컬러 안됨
또 하나 단점은 컬러 스캔이 불가능 하다는 점입니다.

 

3d스캐너 레이저 무선 컬러 노마커
[무선 레이저 No 마커, 컬러가능 - Einscan Libre]

 

 

하지만 최근 이 단점을 모두 해결한 제품도 나왔으니

이제는 레이저 광원을 선택할 때 포기 해야 할 건 아무 것도 없게 되었습니다.

 

3d스캐너 광원 분류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적외선 : 값싼 저해상도 컬러 3D 스캐너

LED : 고해상도 고정밀도의 컬러 3D 스캐너

레이저 : 고해상도 초고정밀도의 산업용 3D 스캐너


2. 방식별 특징

 

3d스캐너 방식별 분류

 

방식은 스캔 대상물체의 크기에 따라

"핸드헬드 vs 고정식"으로 나뉘어집니다.

2-1. 핸드헬드 (이동형)

 

3d스캐너 핸드헬드 방식


핸드헬드 방식은 20cm 이상의 제품을 스캔합니다.

 

가장 권장하는 사이즈는 사람 팔뚝보다 큰 사이즈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몇 십 미터보다 큰 사이즈도 스캔 할 수 있습니다.

 

3d스캐너 대형물체

 

다만 PC의 성능에 좌우되고 데이터 용량이 커집니다.

그리고 누적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냥 스캔 할 수 있는 크기는 약 3-4m이내로 권장합니다.

 

 

3d스캐너 대형물체

 

그 이상의 스캔이 필요한 경우 포토그래메트리 시스템으로

 

누적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2-2. 고정식 (데스크탑형)

사실 3D 스캐너는 큰 것 보다 작은 것을 찍는 것이 더욱 어렵습니다.

3d스캐너 고정식


카메라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운데

풍경 사진은 찍기 쉽지만

손톱만한 조그만 물체는 접사하여 고해상도로 찍기가 참 어렵습니다.

따라서 고정식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작은 물체들을 찍습니다.

 

3d스캐너 고정식

 

 

보통 3cm - 20cm 범위의 대상 물체를 스캔합니다.

여기에 접사 사진을 찍을 때도 렌즈의 성능에 따라 달라지듯

고정식 3D 스캐너의 가격 차이는

작은 물체를 얼만큼 디테일하게 스캔 할 것 인가에 따라 발생합니다.

그래서 장비를 비교할 때 주요하게 봐야 하는 스펙이 점간거리입니다.

이 내용은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정리하자면

큰 물체는 핸드헬드로

작은 물체는 고정식으로 스캔한다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3. 기타 특수 방식

3D 스캐너를 쭉 훑어보니

완벽하게 한 장비로 모든 제품을 스캔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특수한 방식의 3D 스캐너도 있습니다.

 

3-1. 트래커 방식

3d스캐너 트래커


레이저 광원의 단점인 마커를 부착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레이저 3D 스캐너를 직접 추적하는 트래커를 같이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손님의 자동차를 스캔해야하거나

제품에 마커도 부착할 수 없고 스프레이도 뿌리지 못하지만

고해상도 고정밀도의 측정이 필요할 때 선택하게 됩니다.

 

3-2. 로봇 팔 방식

3d스캐너 로봇암


이것도 마찬가지로 레이저 3D 스캐너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로봇 팔에 달아서 스캔하면

각 관절값으로 역추적하여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중/소형 제품을 스캔할 때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3-3. 광대역 스캐너

3d스캐너 광대역 라이다


물건 뿐만 아니라 건물이나 지형을 스캔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최근 가장 많이 채택하는 방식은

SLAM Lidar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공간 정보를 스캔합니다.

건물의 내/외부 혹은 토지의 측량

문화재 중에서도 성벽이나 초대형 불상등에 사용됩니다.

3-4. 드론 라이다

3d스캐너 드론라이다


광대역 스캐너보다 더 넓은 지역을 스캔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도시나 섬 등을 스캔하여

도시계발계획, 공장건설계획 등에 사용합니다.


 

여기까지 읽느라 너무 고생하셨습니다.

3D 스캐너가 많아도 너무 많다보니 알려드릴 정보가 너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것만 기억하세요!

 

광원은 3가지로 나뉘고!

방식은 2가지로 나뉘고!

대상물체의 재질과 크기를 보고 선택한다!

 

사실은 이렇게 공부하시는 것보다

백문이 불여일견입니다.

 

직접 스캔하려는 제품 들고

저희 제이쓰리디 사무실에 방문하시면

가격대별로, 분류별로 모든 제품을 갖고 있으니

한번 스캔해보고 선택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제이쓰리디의 문은 언제나 활짝 열려있습니다.

궁금한 것이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봐주세요!

 

주실장 : zoo@j3d.co.kr

j3d.co.kr